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감동의 '국제시장' 아직도 안보셨나요

영화 '국제시장'의 인기가 식을 줄 모른다. 북미 개봉 3주차 주말을 지나면서도 '국제시장'의 흥행 성적은 꾸준히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박스오피스 수익을 바탕으로 집계해 보면 개봉 후 26일까지 뉴욕과 뉴저지 지역에서 영화를 관람한 관객은 2만 여 명에 이른다. 특히 뉴저지 에지워터멀티플렉스에서는 현재까지 박스오피스 수익 약 12만 달러를 기록해 뉴욕.뉴저지 흥행의 중심에 서 있다. 북미 전체 46개관 누적 수익은 153만 달러에 이른다. 지난 주말 영화를 봤다는 뉴저지 거주 권석태(32)씨는 "친구들과 다섯 명이서 함께 갔는데 모두 눈물을 쏟았다"며 "원래 슬픈 영화를 봐도 눈물을 흘리지 않는 편인데 '국제시장'을 보고는 펑펑 울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권씨는 "영화를 보고 어머니와 통화하는데 어머니도 수화기 너머로 눈물을 훔치셨다"고 덧붙였다. 한국에서도 흥행 돌풍은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질 않는다. 영화는 24일 기준 누적 관객수 1180만1047명을 돌파했다. 이는 '태극기 휘날리며'를 뛰어넘어 역대 흥행 8위에 해당되는 성적. 역대 휴먼 드라마 사상 최고의 오프닝 스코어(18만4972명) 역대 1월 1일 최다 관객수(75만1253명) 등의 기록을 연이어 세우며 흥행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영화는 6.25 전쟁 당시 흥남 철수 난리통에 아버지와 막내 동생을 잃어버린 덕수가 걸어온 삶의 여정을 보여준다. 아버지와 동생을 향한 마음의 빚을 떠안고도 삶의 무대에서 악착같이 일하며 남은 가족들을 부양하기 위해 이리 뛰고 저리 뛰는 주인공과 함께 한국의 현대사를 그려낸다. 현재 뉴욕.뉴저지에서는 에지워터 멀티플렉스와 노스버겐 컬럼비아파크시네마스12 베이사이드 베이테라스AMC를 비롯해 화잇스톤에 있는 칼리지포인트 멀티플렉스(28-55 Ulmer St.)에서 상영중이다. www.CJ-Entertainment.com 이주사랑 기자/ jsrlee@koreadaily.com

2015-01-26

[살며 생각하며]'국제시장'은 영화다

"쌍안경에 묻혀들어오는 처참한 광경은 피난민들과 그들 옆에 놀란 병아리들처럼 아이들이 있었다." 1950년 크리스마스를 불과 3일 앞둔 12월 22일 한국전에 물자수송을 맡은 7800톤의 메더디스 빅토리아 호의 선장 레나드 라루(Leonard Larue)의 고백이다. 그의 살신성인(殺身成仁) 이야기는 필자가 2012년 6월 16일자 칼럼에 소개한 바 있다. "배에 실려있는 병기와 차량들을 바다에 던져라 그리고 저 피난민들을 태워라. 태울 수 있는 만큼 많이." 그 한마디에 생사(生死)의 갈림을 체험한 분들의 악착같은 삶의 여정이 영화 '국제시장' 이야기다. 60명 정원에 이미 47명의 승무원이 타고 있던 화물선 빅토리호. 무려 1만4000명을 죽음 직전에 구한 기적의 배와 보트 피플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한국정부는 선장 레나드 마루에게 을지무공훈장을 미의회는 갤런트상을 미교통부는 '인류 역사상 가장 아름다운 구출을 한 배'로 선포하였다. 1950년 12월 눈보라가 매섭게 휘날리던 당시 북한의 최대항구 원산은 이미 중공군의 수중에 들어간 상태였다. 사람 키높이로 쏟아진 폭설가운데 8만여 명의 중공군들이 친 포위망을 뚫고 유령처럼 밀려온 장진호 일대의 미해병 1사단 2만여 명과 북쪽에서 고립되어있던 미 10군단 10만 명의 병력과 장비 수십만의 피난민은 흥남부두를 아비규환(阿鼻叫喚)으로 만들고 남았다. 그 장사진 속에 수많은 덕수와 그 가족의 피말리는 탈출기와 이산의 고통은 분단 한국민이 치른 자유민주주위의 값비싼 댓가였고 피난지 부산에서의 고초는 전쟁세대가 겪어야만 했던 어쩔 수 없는 처절한 몸부림에 지나지 않는다. 인간적 가치나 문화적 갈등 내일을 향한 꿈 등은 극소수 영화 속에 등장하는 정주영이나 앙드레 김 같은 특출한 사람들에게 어울리는 사치일 뿐이다. 가진 것이라곤 젊음과 몸뚱이 하나 뿐인 당신들에게 독일의 탄광이나 월남의 정글정도는 가족이 살기위한 무한 담보(擔保)로 보였을 것이다. 영화 '국제시장'을 두고 진영 간에 시비가 요란하다는 보도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이 뜬금없이 본 적도 없는 영화를 두고 '애국가가 울려퍼지면 부부싸움조차 중단하고 경례' 운운하면서 뭔가 각본있는 보수진영의 노림수로 의심받게 한 빌미를 제공한 면도 있다. 그렇다고 영화 '변호사'를 좌 '국제시장'을 대표적인 '우'로 서로 욕하고 진영 갈등으로 몰고가는 것은 서글프다. 소통과 화합의 작가정신이 훼손되고 오히려 또 하나 갈등의 분화로 사회적 낭비를 초래해 가는 것이 안타깝다. '국제시장'을 본 소감은 한마디로 우리 이민 세대의 이야기처럼 보인다. 눈보라가 휘날리던 흥남부두는 70~80년대 당시 맨몸으로 떠났던 김포공항 상황과 별반 다를 바 없다. 덕수가 가족이란 이름으로 몸을 던졌던 국제시장은 이민세대가 부딪힌 폐허같이 인적 드문 브로드웨이와 플러싱의 상가 옛 모습들과 비교가 된다. 덕수가 독일의 탄광과 월남의 정글을 망설이지 않고 들어갔듯이 그들 또한 브롱스와 할렘을 마다하지 않았다. 영화 '국제시장'은 적어도 3대가 같이 앉아서 눈물 흘리며 볼 수 있는 착한 가족영화다. 부모는 물론 할아버지 세대의 애환을 떠올리며 뜨거운 눈물로 감사할 수 있는 좋은 소재다. 거기에 왜 '좌'가 있고 '우'가 있을까. 영화는 관객의 기호를 충족하고 대중의 공감을 표출해 내면 흥행을 이끌 수 있다. 그래서 '국제시장'은 오늘도 우리 동포들을 하루 수천명씩 극장 앞으로 끌어모으고 있다. 덕수에게 비치는 기울어진 세상과 뒤틀린 감정이 보인다. 변화에 대한 거부감과 상실감이 곧잘 분노가 되어 좌충우돌(左衝右突)한다. 혹시 우리 이민세대에게도 이런 타성이 있지 않을까? 뭔가 잡고 있지 않으면 나락으로 밀려 떨어져버릴 것 같은 완고한 좌절감이 우리를 잠 못들게 하지는 않을까? 덕수가 변한 세상을 인정하고 '꽃분이네 가게'를 놓았던 것처럼 우리들도 버릴 때 오는 상쾌한 승리감을 이 영화를 통해서 얻었으면 한다. 그래도 마뜩찮으면 자신의 삶을 향해 스스로 큰 공로상을 드려봄이 어떨까. 열심히 살아서 대견 감사하다고….

2015-01-23

[칼럼]가슴의 빗장을 열어주는 영화 ‘국제시장’

나이가 들어가면 아름다운 추억을 곱씹으면서 산다고들 어르신들이 이야기한다. 모처럼의 한국 방문을 하면서 이제 나 역시 나이가 들어가는지 신문 광고를 보다가 우연히 아버지에 대한 기억을 살리는 문구를 발견하고 안간다고 우기는 조카들을 데리고 심야 영화를 보러갔다. 자라면서 한번도 “아빠”라고 불러 본 기억이 없는 돌아가신 아버지를 회상하게 하는 장면들마다 눈물을 짓지 않을 수 없었다. 학교에서 돌아오면 그즈음 아버지께서는 몸이 편찮으셔서 집에 계셨는데 늘 충혈된 눈으로 나를 반기곤 했다. 별로 부유하지 못한 가정에서 자라난 나는 어린 시절 TV에 대한 맹신으로 하루의 가장 중요한 일과가 TV를 보는 시간이었다. 지금 생각하니 그 당시에도 호랑이를 닮은 어머니의 무서운(?) 교육에 대한 집념이 드라마나 그외 TV 시청을 하는 것에 많은 제한을 두었다. 더군다나 5시가 넘어야 나오는 TV에 대한 애절함은 갈증 후에 찬 물을 마시는 그것과 같았다. 오후 내내 TV를 본다는 일념으로 살 던 시절인데 그 당시는 하루종일 TV 방송이 나왔는데 그것은 이산가족 찾기라는 프로였다. 우리 가족은 이산가족이 없지만 주변의 아버지 친구분들은 늘 그리운 가족에 대한 회한이 있었던 터라 TV 시청은 대단했다. 눈물과 한숨과 그리움으로. 화면에 나오는 그들의 상봉 장면을 보고 이유없이 함께 울었던 기억이 새삼스럽다. 영화속에서 주인공 ‘덕수’가 여동생을 상봉하는 장면에서 영화를 관람하던 대부분의 사람들이 눈시울을 적시는 모습이었다. 배우들의 연기도 또 얼마나 실감이 나던지 너무나 실제 상황들 처럼 보여 가슴을 쓸어 내리지 않을 수 없었다. 영화 ‘국제시장’에서 함께 감정을 나누고 아픔을 나누었던 이산 가족의 상봉과 함께 도심에 울려 퍼지는 애국가도 옛 생각에 잠기게 했다. 중·고등학교 시절 만원버스를 타고 다니면서 기억에 남은 일 중에 하나가 어김없이 오후 5시만 되면 애국가가 울려 퍼지고 아무리 바빠도 우리는 그 자리에 꼿꼿이 서서 애국심을 보여야 했었다. 이런 장면들이 시대를 공감하며 나누는 영화로 많은 사람들에게 머리를 끄덕이게 하였으리라 생각이 된다. 주인공이 내뱉는 대사에는 30년 전의 추억들이 담겨 있고, 지나간 시간이라 말로 설명하기에 너무나 안타까운 세대들의 가슴 빗장을 열게 하는 장면들이 눈물짓게 한다. 가장 실제와 가까우면서 그러나 그 깊은 내면의 잠재한 아픔과 해결되지 않는 그 무엇을 뒤집어 털어내는 힘이 바로 이 영화의 힘은 아니었을까? 아버지의 생활력을 닮은 자식이 아버지가 되어 그보다 더 심한 역동기의 삶을 살아내게 하는 그 힘이 이 영화를 보는 모든 아버지들의 삶을 대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영화와 같은 대중 매체를 통한 감정의 정화는 참으로 위대하기에 이 세대를 외로워 하는 많은 아버지들과 그들을 이해하기엔 너무 소중하게 자란 자식 세대 간의 거리를 좁혀 주는 훌륭한 아주 훌륭한 가족영화로 자리매김을 하길 기대해 본다.

2015-01-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